족보상식 족 보 > 족보상식 > 족보 용어 해설
족보의 기원
족보의 구성과 종류
족보 보는 법
족보 용어 해설
가족 호칭
계촌법
시조(始祖), 비조(鼻祖)
시조란 제일 처음의 선조로서 첫 번째 조상이며 비조란 시조 이전의 선계(先系) 조상중 가장 높은 사람을 일컫는다. 시조 이전의 계가 없을 경우에 한해 시조를 정중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비조라고 말하는 수도 있다.

중시조(中始祖)
중시조란 시조 이하의 쇠퇴한 가문을 일으켜 세운 조상을, 모든 종중(宗中)의 공론(公論)에 따라 정하여 추존(追尊)한 사람이다. 선계(先系)와 세계(世系) 선계란 시조 이전 또는 중시조 이전의 조상을 일컫는 말이며, 세계란 대대로 이어가는 계통의 차례를 말한다.

()와 ()
시조를 1세로 하여 차례로 따져서 정하는 것을 세(世)라 하고, 자기를 뺀 나머지를 차례로 따져서 정하는 것을 대(代)라 한다. 예를들어 시조로부터 11세손(世孫)이 되는 사람은 시조가 10대조(代祖)이며 시조에게는 10대손(代孫)이 된다. 가까운 선조에는 세를 쓰지 않으므로 5세조는 4대조라 한다.

선대(先代)와 말손(末孫)
선대라함은 시조이후 상계(上系) 조상을 총괄적으로 말하는 것이고 후대(後代) 즉 하계(下系)의 자손들을 말손(末孫)이라 한다. 아명(兒名), 관명(冠名), 항명(行名), 별호(別號), 함자(啣字), 휘자(諱字) 요즘은 이름을 하나로 부르지만 옛날에는 여러 가지로 불렀는데, 어렸을 때 부르는 이름을 아명(兒名), 관례(冠禮, 20세가되면 하는 관을 쓰는 예식)를 하면 주례자가 지어주는 관명(冠名) 즉 자(字), 보첩에 올리는 항명(行名), 특별히 따로 부르는 별호(別號) 등이있다. 윗어른의 이름자를 말할 때 살아계신 분에 대하여는 함자(啣字)라 하고, 돌아가신 분에 대하여는 휘자(諱字)라 한다.

항렬과 항렬자
항렬이란 같은 혈족사이에 세계의 위치를 표시 하기위한 문중 율법이며, 항렬자란 이름자 중에 한글자를 공통적으로 사용하여 같은 혈족, 같은 세대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돌림자라고도 한다. 항렬자는 가문마다 각각 다르게 정하고 있으나 금수목화토(金水木火土)의 5행순에 따라서 정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후사(後嗣)와 양자(養子)
후사란 대를 잇는자식이라는 뜻으로, 계대를 잇는 자손을 말한다. 만약 계대를 이을 자손이 없는 경우에는 무후(無后), 양자로 출계(出系)하였을 경우에는 출후(出后), 양자로 들어온 사람은 입후(入后), 서얼(庶孼, 첩의 아들)로서 입적 되었을 경우에는 승적(昇嫡)이라고 기록한다. 그리고 후사가 확실치 않아 확인할 수 없을 때에는 후부전이라 한다.

조요(早夭), 향년(享年), ()
20세 이전에 사망하면 요절(夭折, 젊어서 죽음)이란 뜻으로 조요(早夭)라 표시하고 70세가 되기전에 사망하면 향년(享年)으로 표시하며 70세가 넘어 사망하면 수(壽)라 하고 방서(旁書)란에 기록한다.

방주(旁註), 방서(旁書)
일의 실적이나 공적을 기록한 부분 또는 서책.